cell offload processing 에 대한 이해와 검증을 위해서 아래의 시나리오을 실습합니다.
이번 실습은 난이도가 높은 실습 입니다.
· Demonstrate Smart File creation for Creating Tablespaces
· Demonstrate Smart Scan processing for Table Scans
· Demonstrate Smart Scans in Index Fast Full Scan
· Demonstrate Smart Scans in Bitmap Index Scan
· Demonstrate Exadata Cell failure
· Shutdown the Lab Environment
Tablespaces 생성을 통해 Smart File creation 검증
Exadata 의 주요 특장점인 Smart File creation은 file 생성을 cell offloading 을 통해 성능을 극대화 합니다. 아래의 실습을 통해서 그 내용을 이해하고 검증해 보도록 하겠습니다.아래의 실습은 lab_user DB 사용자 계정으로 진행 합니다.
1. |
v$sysstat 뷰 테이블을 통해 현재 cell physical io bytes saved during smart file creation 값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. 이 통계 정보는 Smart File creation 을 사용하는 동안 발생한 IO bytes 입니다.
SQL> select name, value from v$sysstat where name = ‘cell physical IO bytes saved during optimized file creation’;
NAME VALUE
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- ———-
cell physical IO bytes saved during optimized file creation 0 |
|
2. |
cell_offload_processing 파라미터의 값을 TRUE 로 설정한 이후 tablespace 생성 명령어을 수행 합니다. cell_offload_processing 파라미터는 smart processing 을 위해서 Exadata 에서 고려 되어야 하는 파라미터 입니다. tablsepace 생성 이후 cell physical io bytes 의 변경된 값을 확인 합니다. 변경된 값을 비교하면, Exadata Cell 의 offloading 을 통해서 얻을 수 있는 이점 등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.
SQL> alter session set cell_offload_processing = TRUE;
Session altered.
SQL> create tablespace smart_file_tbs datafile ‘+DATA’ size 100M;
Tablespace created.
SQL> select name, value from v$sysstat where name = ‘cell physical IO bytes saved during optimized file creation’;
NAME VALUE
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- ———-
cell physical IO bytes saved during optimized file creation 838860800 |
|
3. |
이번에는 cell_offload_processing 파라미터을 turn-off 로 변경하고, “_cell_fast_file_create” 파라미터을 FALSE로 설정한 이후 tablespace 삭제 후 생성 명령을 다시 수행합니다. 그리고 smart file 생성 후 cell physical IO bytes 값을 확인하여 위의 결과값과 비교합니다. 이것을 통해 cell_offload_processing 파라미터을 turn-off 시키면 smart file creation 의 이점이 전혀 없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.
SQL> alter session set “_cell_fast_file_create” = FALSE;
Session altered.
SQL> drop tablespace smart_file_tbs including contents;
Tablespace dropped.
SQL> create tablespace smart_file_tbs datafile ‘+DATA’ size 100M;
Tablespace created.
SQL> select name, value from v$sysstat where name = ‘cell physical IO bytes saved during optimized file creation’;
NAME VALUE
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- ———-
cell physical IO bytes saved during optimized file creation 838860800
SQL> drop tablespace smart_file_tbs;
Tablespace dropped. |
|
효율적인 Table Scans 위한 Smart Scan Processing 검증
v$sql 뷰테이블을 통해서 아래의 통계 정보을 확인 합니다.
- IO_INTERCONNECT_BYTES: query 을 위해 통신한 IO 값에 대한 지표 입니다. 이 값을 통해서 block IO 와 smart IO 에 대한 통계을 알 수 있습니다 .
- IO_DISK_BYTES: query을 위해 cell 의 IO 성능에 대한 지표 입니다. 이 값을 통해서 cell IO 성능에 대한 block IO 와 smart IO 에 대한 통계을 알 수 있습니다 .
- IO_CELL_OFFLOAD_ELIGIBLE_BYTES: query을 위해 cell의 smart scan 을 위해 offload 된 IO 값에 대한 지표 입니다. Cell Offload Processiong 에 대한 통계을 알 수 있는 아주 중요한 지표 입니다.
$sysstat 뷰테이블을 통해서 아래의 통계 정보을 확인 합니다.
- cell physical IO interconnect bytes: 인스턴스 서비스 이후부터 모든 Cell 로부터 서비스된 IO의 통계 지표을 나타냅니다. 이 이 값을 통해서 block IO 와 smart IO 에 대한 통계을 알 수 있습니다 .
- physical IO disk bytes: 인스턴스 서비스 이후 cell 의 IO 성능에 대한 지표 입니다. 이 값을 통해서 cell IO 성능에 대한 block IO 와 smart IO 에 대한 통계을 알 수 있습니다 .
- cell physical IO bytes eligible for predicate offload: 인스턴스 서비스 이후 위해 cell의 smart scan 을 위해 offload 된 IO 값에 대한 지표 입니다. Cell Offload Processiong 에 대한 통계을 알 수 있는 아주 중요한 지표 입니다.
lab_user 로 접속해서 아래의 단계을 순차적으로 수행 합니다.
1. |
이번 단계에서는 몇가지 Query 을 수행함을 통해서 lab_table 에 block I/O 을 생성 시킵니다. I/O 을 발생하는 Query의 조건을 간제적으로 정의하기 위해서 아래의 파라미터 값을 변경 합니다. 파라미터 offload_processing 값을 FALSE 로 변경합니다. offload processing 을 사용하지 못하도록 변경했기 때문에 Exadata cell 에서 predicate filtering 이 수행되지 못하게 됩니다.
count(*) query 을 수행해서 Exadata cell 의 I/O 사용 통계에 대한 값을 확인 합니다. 통계 정보의 값을 확인하기 위해서 v$sql_text 뷰테이블을 조회 합니다.
SQL> show parameter cell;
NAME TYPE VALUE
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 ———– 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
_cell_fast_file_create boolean FALSE
cell_offload_compaction string ADAPTIVE
cell_offload_parameters string
cell_offload_plan_display string AUTO
cell_offload_processing boolean TRUE
cell_partition_large_extents string DEFAULT
SQL> alter session set cell_offload_processing = FALSE;
Session altered.
SQL> select count(*) from lab_table where object_id>-10;
COUNT(*)
———-
1442154
SQL> select sql_text, sql_id, io_cell_offload_eligible_bytes, io_interconnect_bytes, io_disk_bytes from v$sql where sql_text like ‘select count(*) from lab_table where object_id>-10’;
SQL_TEXT
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–
SQL_ID IO_CELL_OFFLOAD_ELIGIBLE_BYTES IO_INTERCONNECT_BYTES IO_DISK_BYTES
————- 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 ——————— ————-
select count(*) from lab_table where object_id>-10
cjgs05a0400y5 0 128065536 128065536 |
io_cell_offload_eligible_bytes 값이 0 인 것을 확인 함으로써, 위 SQL을 통해서 block IO가
Exadata Cell 에서 predicate filtering 없이 수행 되어졌다는 것을 이해 할 수 있습니다. |
2. |
이번 단계에서는 몇가지 Query 을 수행함으로 lab_table 에서 predicate I/Os ( 또는 Smart I/Os) 가 발생하도록 확인 하겠습니다. 이을 위해서 파라미터 cell_offload_processing 값을 TRUE 로 조정해서 진행 합니다. 이 파라미터 값이 TRUE 하 할지라도, 모든 Query 가 predicate I/Os ( 또는 Smart I/Os) 을 하게 되는 것은 아닙니다.
그렇기 때문에 직접 Exadata Cell 을 읽어서 강제적으로 무조건 predicate I/Os ( 또는 Smart I/Os) 을 수행하도록 몇가지 파라미터을 추가적으로 변경 해야합니다. 즉 병렬 Query가 수행되지 않아서 직접 Exadata Cell 을 읽지 않을때에도 강제적으로 Exadata Cell 을 읽도록 하는 것입니다. 이를 위해서 파라미터 “_serial_direct_read” 값을 TRUE 로 변경 합니다.위 조건에서는 병렬 Query 가 수행되지 않을 때에도 buffer cache 을 거지치 않고 Exadata Cell 에서 직접 데이터을 읽어 오게 됩니다.
아래 SQL 의 실행계획을 통해서 위의 예상 결과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. 특히 Predicate clause 부분은 Exadata Cell Offload Processing 에 대한 실행계획 입니다.
SQL> alter session set cell_offload_processing=TRUE;
Session altered.
SQL> alter session set “_serial_direct_read”=TRUE;
Session altered.
SQL> set autotrace on
SQL> select count(*) from lab_table where object_id>-9;
COUNT(*)
———-
1442154
Execution Plan
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-
Plan hash value: 2189604569
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–
——–
| Id | Operation | Name | Rows | Bytes | Cost (%CPU)| Ti
me |
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–
——–
| 0 | SELECT STATEMENT | | 1 | 13 | 5815 (1)| 00
:01:10 |
| 1 | SORT AGGREGATE | | 1 | 13 | |
|
|* 2 | TABLE ACCESS STORAGE FULL| LAB_TABLE | 1347K| 16M| 5815 (1)| 00
:01:10 |
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–
——–
Predicate Information (identified by operation id):
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
2 – storage(“OBJECT_ID”>(-9))
filter(“OBJECT_ID”>(-9))
Note
—–
– dynamic sampling used for this statement
Statistics
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-
298 recursive calls
0 db block gets
21424 consistent gets
21325 physical reads
0 redo size
421 bytes sent via SQL*Net to client
420 bytes received via SQL*Net from client
2 SQL*Net roundtrips to/from client
5 sorts (memory)
0 sorts (disk)
1 rows processed
SQL> set autotrace off
SQL> select sql_text, sql_id, io_cell_offload_eligible_bytes, io_interconnect_bytes, io_disk_bytes from v$sql where sql_text = ‘select count(*) from lab_table where object_id>-9’;
SQL_TEXT
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–
SQL_ID IO_CELL_OFFLOAD_ELIGIBLE_BYTES IO_INTERCONNECT_BYTES IO_DISK_BYTES
————- 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 ——————— ————-
select count(*) from lab_table where object_id>-9
84uhhywhqd17n 174776320 16583304 174776320 |
|
Index Fast Full Scan 을 통한 Smart Scans 검증
lab_user로 접속해서 아래의 단계을 수행 합니다.
1. |
우선 lab_table 에 lab_table_index 을 생성합니다.
SQL> create index lab_table_index on lab_table (object_id, owner);
Index created. |
|
2. |
lab_table 에 Index Fast Full Scan 을 할 수 있도록 Hint 을 주어서 아래의 SQL을 수행 합니다. cell offload processing 이 수행되도록 하기 위해서 아래와 같이 2개 파라미터의 값을 조정 합니다. 실행 계획을 확인하면 storage 와 filter clause 부분에서 Index Fast Full Scan 이 Cell Offload Processing 을 수행 한 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.
SQL> alter session set cell_offload_processing = TRUE;
Session altered.
SQL> alter session set “_serial_direct_read” = TRUE;
Session altered.
SQL> set autotrace on
SQL> select /*+INDEX_FFS(lab_table lab_table_index) */ count(*) from lab_table where owner = ‘EXADATA’;
COUNT(*)
———-
0
Execution Plan
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-
Plan hash value: 734070628
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–
—————–
| Id | Operation | Name | Rows | Bytes | Cost (
%CPU)| Time |
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–
—————–
| 0 | SELECT STATEMENT | | 1 | 17 | 1222
(2)| 00:00:15 |
| 1 | SORT AGGREGATE | | 1 | 17 |
| |
|* 2 | INDEX STORAGE FAST FULL SCAN| LAB_TABLE_INDEX | 235 | 3995 | 1222
(2)| 00:00:15 |
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–
—————–
Predicate Information (identified by operation id):
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
2 – storage(“OWNER”=’EXADATA’)
filter(“OWNER”=’EXADATA’)
Note
—–
– dynamic sampling used for this statement
Statistics
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-
5 recursive calls
0 db block gets
4440 consistent gets
4361 physical reads
0 redo size
417 bytes sent via SQL*Net to client
420 bytes received via SQL*Net from client
2 SQL*Net roundtrips to/from client
0 sorts (memory)
0 sorts (disk)
1 rows processed
|
|
Bitmap Index Scan 을 통한 Smart Scans 검증
lab_user 로 접속해서 아래의 단계을 수행 합니다.
1. |
lab_table에 bitmap index lab_table_bitmap 을 생성 합니다.
SQL> create bitmap index lab_table_bitmap on lab_table (owner);
Index created. |
|
2. |
lab_table 에 Index Fast Full Scan 을 할 수 있도록 Hint 을 주어서 아래의 SQL을 수행 합니다. cell offload processing 이 수행되도록 하기 위해서 아래와 같이 2개 파라미터의 값을 조정 합니다. 실행 계획을 확인하면 storage 와 filter clause 부분에서 lab_table_bitmap 이 Cell Offload Processing 을 수행 한 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.
SQL> alter session set cell_offload_processing = TRUE;
Session altered.
SQL> alter session set “_serial_direct_read” = TRUE;
Session altered.
SQL> set autotrace on
SQL> select /*+INDEX_FFS(lab_table lab_table_bitmap)*/ count(*) from lab_table where owner = ‘SYS’;
COUNT(*)
———-
626682
Execution Plan
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-
Plan hash value: 1529707086
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–
——————
| Id | Operation | Name | Rows | Bytes | Cost
(%CPU)| Time |
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–
——————
| 0 | SELECT STATEMENT | | 1 | 17 | 953
(2)| 00:00:12 |
| 1 | SORT AGGREGATE | | 1 | 17 |
| |
|* 2 | INDEX STORAGE FAST FULL SCAN| LAB_TABLE_BITMAP | 563K| 9353K| 953
(2)| 00:00:12 |
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–
——————
Predicate Information (identified by operation id):
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
2 – storage(“OWNER”=’SYS’)
filter(“OWNER”=’SYS’)
Note
—–
– dynamic sampling used for this statement
Statistics
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-
9 recursive calls
0 db block gets
3475 consistent gets
3393 physical reads
0 redo size
420 bytes sent via SQL*Net to client
420 bytes received via SQL*Net from client
2 SQL*Net roundtrips to/from client
0 sorts (memory)
0 sorts (disk)
1 rows processed
SQL> exit; |
|
Exadata Cell Failure 에 대한 검증
아래의 검증을 위한 실습은 2개의 Exadata Cell 환경일 경우에만 가능합니다.
(Exadata Cell1, Exadata Cell2)
1. |
lab_user 로 sqlplus 에 접속해 아래의 SQL 을 수행 합니다. 아래의 SQL 이 연속적으로 수행 되고 있을때 2번째 단계을 동시에 실행 합니다.
select count(*) from lab_table;
select count(*) from lab_table;
select count(*) from lab_table;
select count(*) from lab_table;
select count(*) from lab_table; |
|
2. |
PuTTY(SSH) 을 통해 root 계정Exadata Cell 에 접속해서 init0 명령어로 시스템을 강제적으로 shutdown 시킵니다.
login as: root
root@192.168.204.201’s password:
Last login: Tue Feb 10 20:02:07 2009
[root@ExadataCell1 ~]# init 0 |
|
3. |
1번째의 sqlplus session 을 통한 SQL 수행이 연속적으로 수행되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. 이것은 ASM 이 Normal Redundancy 의 속성으로 DISK GROUP 을 생성하였기 때문에 Exadata Cell1 이 Failure 시에도 Exadata Cell1의 ASM Failure Group 을 통해서 연속적으로 서비스 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.
SQL> select count(*) from lab_table;
COUNT(*)
———-
1442154
SQL> select count(*) from lab_table;
COUNT(*)
———-
1442154
SQL> select count(*) from lab_table;
COUNT(*)
———-
1442154
SQL> select count(*) from lab_table;
COUNT(*)
———-
1442154
SQL> select count(*) from lab_table;
COUNT(*)
———-
1442154
SQL> exit; |
|
Lab 실습 환경 Shutdown
아래 단계별 수행을 통해서 Lab 실습 환경을 shutdown 시킵니다.
1. |
Database server VM (Server1) 에 oracle 계정으로 로그인해서 아래의 명령을 수행합니다.
[oracle@server1 ~]$ export ORACLE_SID=ora11g
[oracle@server1 ~]$ sqlplus / as sysdba
SQL*Plus: Release 11.1.0.7.0 – Production on Tue Feb 10 07:57:15 2009
Copyright (c) 1982, 2008, Oracle. All rights reserved.
Connected to:
Oracle Database 11g Enterprise Edition Release 11.1.0.7.0 – Production
With the Partitioning, OLAP and Data Mining options
SQL> shutdown immediate;
Database closed.
Database dismounted.
ORACLE instance shut down.
SQL> exit;
Disconnected from Oracle Database 11g Enterprise Edition Release 11.1.0.7.0 – Production
With the Partitioning, OLAP and Data Mining options
[oracle@server1 ~]$ export ORACLE_SID=+ASM
[oracle@server1 ~]$ sqlplus / as sysasm
SQL*Plus: Release 11.1.0.7.0 – Production on Tue Feb 10 07:57:46 2009
Copyright (c) 1982, 2008, Oracle. All rights reserved.
Connected to:
Oracle Database 11g Enterprise Edition Release 11.1.0.7.0 – Production
With the Partitioning, OLAP and Data Mining options
SQL> shutdown immediate;
ASM diskgroups dismounted
ASM instance shutdown
SQL> exit;
Disconnected from Oracle Database 11g Enterprise Edition Release 11.1.0.7.0 – Production
With the Partitioning, OLAP and Data Mining options
[oracle@server1 ~]$ lsnrctl stop
LSNRCTL for Linux: Version 11.1.0.7.0 – Production on 10-FEB-2009 07:58:01
Copyright (c) 1991, 2008, Oracle. All rights reserved.
Connecting to (DESCRIPTION=(ADDRESS=(PROTOCOL=IPC)(KEY=EXTPROC1521)))
The command completed successfully
[oracle@server1 ~]$ exit |
|
2. |
Database server VM (Server1) 에 root 계정으로 로그인해서 아래의 명령을 수행합니다.
login as: root
root@192.168.204.200’s password:
Last login: Tue Feb 10 20:02:07 2009
[root@Server1 ~]# shutdown –h now |
|
3. |
On the Exadata Cell1 VM (ExadataCell1) 에 root 계정으로 로그인해서 아래의 명령을 수행합니다
login as: root
root@192.168.204.201’s password:
Last login: Tue Feb 10 20:02:07 2009
[root@ExadataCell1 ~]# shutdown –h now |
|
|
|
4. |
On the Exadata Cell2 VM (ExadataCell2) 에 root 계정으로 로그인해서 아래의 명령을 수행합니다
login as: root
root@192.168.204.202’s password:
Last login: Tue Feb 10 20:02:07 2009
[root@ExadataCell2 ~]# shutdown –h now |
|